라벨이 결혼인 게시물 표시

돈없이 시작했던 신혼부부의 내 집 마련 청약 당첨 전후 기록(1)

마흔 넘어 결혼했지만 둘 다 돈이 없어서 15평짜리 20년도 넘은 구축 아파트에서 신혼생활을 시작한지 5년. 늦은 나이임에도 내 집 하나 없이 시작했던 우리 부부는 2년 전에 청약 당첨된 아파트 입주를 한 달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처럼 돈없이 시작한 신혼부부의 경우 내 집 마련은 어떻게든 대출로 시작할 수 밖에 없는데, 그 일련의 과정에서 느꼈던 점들에 대해 짧게나마 요약하여 기록해 본다. 어느 누군가에게는 이 후기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기록이었으면 좋겠다. 내 집 마련 후기(신축 아파트 청약 신청 케이스) 우리 부부는 내 집 마련을 신축아파트 청약을 통해 진행하고 있는 케이스이다. 아직 대출과 입주가 완벽하게 끝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진행 중'이라는 표현을 쓰려고 한다. 내 집의 형태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보통 평범하게는 이미 지어져서 다른 사람들이 살았던 집 중에 마음에 드는 집을 골라서 매매하여 사는 경우가 있고, 요즘은 신축 분양 아파트 청약을 신청해서 당첨이 되는 것으로 내 집 마련을 하는 경우도 많다. 솔직히 나는 결혼을 마흔에 하면서, 그 나이에 남들은 이미 애도 어느 정도 커 있고 내 집 마련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그런 사람들과 비교하면서 초조한 마음이 매우 컸다. 그래서 새 아파트, 브랜드 아파트 이런 것도 필요없고, 그냥 적당한 넓이가 확보된 집이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지금 살고 있는 집은 실평수가 15평 정도로 방도 2개 밖에 없고 부엌도 거의 없다고 할만큼 집이 좁아서 누군가를 초대하기도 민망했고 좀 창피하기도 해서 집 크기에 대한 자격지심이나 컴플렉스가 있었다. 그러나 남편의 경우에는, 기왕이면 청약 당첨을 통해 신축 아파트로 입주를 하여 시세차익 같은 걸 챙길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우리가 결혼했을 당시 우리 부부는 돈이 없었던 정도를 넘어서서 신용문제 같은 것까지 있어서 전세 대출이고 뭐고 아예 대출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청약 당첨 후 아파트 입주까지 2년 ...

돈없는 신혼부부 신혼집 전세 집구하기 경험담

나와 우리 남편은 둘 다 늦게 결혼해서 신혼생활을 40대에 시작했다. 그러면 20대와 30대 때 돈을 열심히 모아서 좀 여유롭게 신혼살림을 시작했으면 좋은데, 우리는 둘 다 돈이 없었다. 남편은 학력과 직장이 둘 다 좀 부실했던데다가 하고 싶은 일을 찾지 못해 방황하던 시기가 길었고, 그 후에 그나마 자기 적성에 맞아서 혼자하는 자영업 일을 시작했을 때는 동업자에게 사기를 당해서 돈이 없었다. 지금 보면 이렇게 성실하고 알뜰하고 허영심이 없어서 돈을 못 모을 일이 없는 사람인데 운이 안 좋아서 그렇게 되었다.  나의 경우에는 남편과는 좀 반대이다. 지금 생각하면 참 후회스러운데, 나는 알뜰한 면이 없고, 내 마음대로 돈을 팡팡 썼으며, 나 역시 직장인 시절에 부업으로 1인 사업을 시작했는데 하고 싶은 일만 하려고 하다보니 모은 돈은 별로 없이 사업하느라 오히려 빚만 있는 상황이었다. 그런 상태에서 결혼식 비용을 대고 하다 보니 집을 구할 때 우리는 돈이 턱없이 부족했다. 그래서 이 나이에, 아이까지 한 명 있는 마당에 방도 두 개이고 실평수 20평도 안 되는 오래된 아파트에서 아이를 키우고 있다. 나 자신에 대해 많이 부끄럽다는 생각도 하고, 아이방도 없어서 아이에게 미안하기도 하다. 그나마 위안이 된다면 신혼부부 청약에 당첨이 되어 6개월 뒤에 33평짜리 신축 아파트에 이사를 간다는 것 정도이다. 비록 올대출, 풀대출로 가야하긴 하지만 말이다. 청약당첨의 기쁨도 잠시, 지금은 잔금대출과 집값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걱정이 더 많다. 그런 걱정들 중에 또 하나의 걱정은, 지금 살고 있는 전세집의 전세금을 빼서 잔금을 낼 때 보태야 하는데 집이 빨리 나갈 수 있을까 하는 부분이다. 좁은 집에 아이 장난감과 책을 포함해서 짐이 너무 많아서 나중에 집을 내놓아도 누군가가 보러 왔을 때 집이 너무 좁아보여서 집이 안 나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되고, 특히 집의 구조상 어쩔 수 없이 베란다에 곰팡이가 너무 퍼져 있어서 이 부분을 해결해야 집이 잘 나갈 것 같은데 ...

40대 나이에 결혼한 후기

이미지
남편과 나는 둘 다 40대에 결혼했다. 처음 만난 건 내가 40세 되기까지 딱 2개월 남은 시점이었다. 나는 39세였고, 남편은 나보다 두 살 더 많은 41세였다. 그리고 1년 뒤에 결혼해서 지금은 아기도 한 명 키우면서 감사하게 잘 지내고 있다. 생각해 보면 20대부터 30대 내내 공식 커플인 적이 없었을 정도로 연애에는 소질이 없었지만, 그래도 내가 언젠가는 결혼을 할 것이라는 믿음은 변함없이 아주 굳건했다. 지금 와서 생각하면 도대체 쥐뿔도 없이 무슨 자신감인가 싶은데, 그 때는 (남들은 비웃겠지만..) 약간의 신앙의 힘과 끌어당김의 법칙 같은 걸로 내게 배우자가 꼭 생기리라는 확신을 가졌고, 진짜 그거 하나 때문에 노처녀라는 주변의 온갖 압박과 무시를 버틸 수 있었던 것 같다. 내가 남들처럼 결혼 적령기에 일찌감치 결혼을 했더라면 결혼 한 거 하나로 이렇게까지 다행이고 행운이라고 결코 생각하지 않았을 것 같은데, 40대가 되어서야 결혼을 해서인지 결혼이라는 것이 내게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이 남들과는 다르게 엄청 크게 내 삶에 자리잡고 있다. 결혼은 노력해야 할 수 있는 걸까 결혼을 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철저한 자기 관리, 결혼정보회사 가입, 이성의 심리에 대한 탐구 등 그 노력은 다각도로 있을 수 있다. 결혼은 노력해야 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 남편과 가끔씩 토론해 본 적이 있었는데, 노총각이었던 남편은 노력을 해야 결혼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고, 노처녀였던 나는 그와는 조금 반대의 입장이었다. 나는 평소에 어떻게 생각했냐면, 연애나 결혼이 쉽게 잘되는 사람들은 크게 노력하지 않아도 소개팅 한 번에 바로 연애해서 결혼하거나, 아니면 우연한 기회로 자연스러운 만남이 이어져서 연애를 하고 결혼을 하는 반면, 나처럼 연애나 결혼이 잘 안되는 사람들은 아무리 애를 써도 만남이 길게 안 이어지고 매번 차이고 이러기 때문에, 결혼은 노력같은 걸로 절대 안 되고 운명이라는 것이 내 생각이었다. 결국 결혼도 될놈될이라는 생각을 했었다고나 ...